아버지 품으로 돌아갈 때 누리는 회복과 기쁨

♥누가복음 15장 17~24절♥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아버지의 품으로 돌아갈 때 누리는 회복과 기쁨

본문은 단순히 탕자가 집으로 돌아오는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 그리고 완전한 회복을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둘째 아들 탕자가 자기 죄를 깨닫고 아버지 집으로 돌아오자, 아버지는 정죄하지 않고 오히려 기쁨으로 맞아 줍니다.

이 본문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어떻게 대하시는지 잘 보여 줍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서 몇가지를 묵상합니다.

첫째, 하나님을 떠나 살때는 반드시 공허감이 찾아옵니다.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탕자는 허랑방탕하여 자기의 전재산을 다 잃고 굶주리게 되었습니다.

하나님 없이 내 방식대로 살 때는 잠시 기쁨이 있는 것 같지만 결국 영혼이 피폐해 지고 공허해 집니다.

둘째, 하나님은 우리가 돌아올 때 먼저 달려 오십니다.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아버지는 아들이 돌아오는 것을 멀리서 보고 먼저 달려갑니다. 유대 문화에서 어른이 뛰는 것은 체면을 구기는 것이지만 신경쓰지 않습니다.

셋째, 하나님은 우리를 여전히 자녀로 받아 주십니다.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아버지는 아들에게 새옷과 가락지 그리고 신발을 주십니다. 즉 우리는 죄를 지었지만 하나님께로 돌아가면 여전히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넷째,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이 기쁨의 삶입니다.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아버지는 아들이 돌아오자 잔치를 베풉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돌아올 때 기뻐하시며 우리의 삶을 회복하십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 탕자가 아버지 품으로 돌아갈 때 누리는 기쁨을 묵상합니다.

나는 지금 하나님과 가까운가? 아니면 멀리 떨어져 있는가?

나는 죄로 인해 죄책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님께 나아가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가?

내가 하나님께로 돌아갈 때 이것이 기쁨의 회복임을 믿고 있는가?

오늘도 하나님께 한 걸음 나아갑니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이미 기다리시는 아버지께 달려갑니다.

나의 삶과 환경을 너무도 잘 알고 계시는 아버지께 달려갑니다.

내가 무엇때문에 주저하고 고통받고 있는지도 아버지는 잘 아십니다.

아버지께로 달려갑니다.

묻지도 따지지시도 않으시는 하나님 아버지께 달려갑니다.

[기도제목]

1.주님의 사랑을 온전히 깨닫고 매일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기를 기도합니다.

2.아버지의 사랑을 만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사람되기를 기도합니다.

3.4월 GEM 정기모임이 있습니다. 정기모임을 위해 기도부탁합니다.

4.40일 밤별 예배가 드려지고 있습니다. 교회가 연합하여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5.세계중보기도란에 올린 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학교 교육받지 못하는 아동 8,500만 명에 달해

전 세계적으로 분쟁과 빈곤 등 위기 상황 속에 있는 2억 3,400만 명의 아동에게 교육을 위한 긴급 지원이 필요하고, 이 중에서 현재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8,500만 명(37%)으로 조사됐다.

유엔 산하 국제적 교육 기금인 Education Cannot Wait(ECW)는 2025년 1월에 글로벌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위기에 처한 학령기 아동의 수가 지난 3년 동안 최소 3,500만 명 증가했다.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8,500만 명 가운데 약 17%는 강제 이주를 경험했고, 나머지 83%는 여전히 지역 사회에 살고 있지만 교육을 받을 수 없는 형편에 처해 있다.

보고서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위기 아동들이 더욱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고 말한다. 학교 밖 위기 아동의 20%(1,700만 명) 이상이 장애 아동으로, 장애 아동의 약 75%가 ‘위기 심각성 지수'(Inform Severity Index, 5점 기준)에서 높음(4점 이상) 수준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대륙별로 비교해 볼 때, 위기에 처한 학령기 아동의 약 50%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살고 있었으며,

국가별로는 수단,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 민주콩고, 파키스탄 등 5개의 장기 위기 국가에서 학교 밖 아동의 수가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들 나라에서 초등학교 연령 아동의 17%만이 학교에 다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동 교육 증진을 위한 전 세계적인 협력과 지원 방안들이 모색되고,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과 분쟁 지역의 아동들에게 적실한 도움이 제공되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educationcannotwait.org, eiehub.org)

Previous
Previous

성도의 삶이 반드시 순탄한 것은 아닙니다

Next
Next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 나를 돌보시는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