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의 삶이 반드시 순탄한 것은 아닙니다

♥출 15: 22~27절♥

22. ○모세가 홍해에서 이스라엘을 인도하매 그들이 나와서 수르 광야로 들어가서 거기서 사흘길을 걸었으나 물을 얻지 못하고

23. 마라에 이르렀더니 그 곳 물이 써서 마시지 못하겠으므로 그 이름을 마라라 하였더라

24. 백성이 모세에게 원망하여 이르되 우리가 무엇을 마실까 하매

25. 모세가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한 나무를 가리키시니 그가 물에 던지니 물이 달게 되었더라 거기서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법도와 율례를 정하시고 그들을 시험하실새

26. 이르시되 너희가 너희 하나님 나 여호와의 말을 들어 순종하고 내가 보기에 의를 행하며 내 계명에 귀를 기울이며 내 모든 규례를 지키면 내가 애굽 사람에게 내린 모든 질병 중 하나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니 나는 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임이라

27. ○그들이 엘림에 이르니 거기에 물 샘 열둘과 종려나무 일흔 그루가 있는지라 거기서 그들이 그 물 곁에 장막을 치니라

성도의 삶이 반드시 순탄한 것은 아닙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도중 마라의 쓴 물 변화 사건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후 사흘 길을 행하여 얻은 샘물이 써서 못 마시게 됨으로 모세를 원망합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그 물을 단 물로 변화시켜 주셨습니다.

데일리 말씀을 묵상하며 깨닫게 되는 것은 이 땅에서 성도의 삶이 고난과 역경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하나님의 백성의 삶이 반드시 순탄한 것만은 아닙니다.

22. 모세가 홍해에서 이스라엘을 인도하매 그들이 나와서 수르 광야로 들어가서 거기서 사흘길을 걸었으나 물을 얻지 못하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널때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경험했습니다. 그당시 최강의 애굽 군대를 홍해바다에 던져 넣으신 것도 보았습니다. 이제 앞으로도 하나님께서 함께하셔서 탄탄대로의 길을 걸어갈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생각이 빗나갔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도하의 감격의 찬송이 사라지기도 전에 물이 없어 고통당하며 그 마음으로 하나님을 원망하고 모세를 원망했습니다.

이들의 상황을 인간적인 눈으로 본다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3일을 걸었지만 물을 찾을 수 없었고 또 3일 만에 만에 찾은 물이 쓴 물이었습니다. 사막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이 물입니다. 그런데 물이 바닥이 났고 마실 수 있는 물을 찾을 희망이 없었습니다.

말씀을 통해 묵상이 되어지는 사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것이 평탄한 삶을 사는 것이 아님을 가르쳐 줍니다.

하나님의 백성도 세상에서 고난을 당합니다. 하나님을 믿을 때 더 많은 고난과 시련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씀합니다.

예수님께서도 제자들을 향해 세상에서 환난을 당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요 16: 33절, 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바울도 디모데에게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군사로서 고난을 받을 것을 강조합니다.

딤후 2: 3절, 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딤후 4: 5절, 그러나 너는 모든 일에 신중하여 고난을 받으며 전도자의 일을 하며 네 직무를 다하라

세상에서 성도의 삶은 결코 호의호식하는 안락한 삶이 아닙니다. 오히려 고난과 역경이 있는 삶입니다. 그러나 살아계신 하나님께서 함께하시는 삶이므로 고난을 이기고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이 땅의 수고를 마치는 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영광을 바라보며 세상에서의 모든 고난과 역경을 기쁨으로 감당하기를 원합니다.

[기도제목]

1.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을 주소서.

2.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순종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3.이 나라를 지켜 주셔서 하나님을 경외하는 민족이 되게 하소서.

4.GEM(지구촌 초대 선교회), 올 한해도 선교의 사명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5.세계중보기도란에 올린 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빈곤 및 취약 계층 여성 수감자 증가하고 있어

범죄및사법정책연구소(ICPR)에서 2월 12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73만 3천 명 이상의 여성이 감옥에 있다. 2000년 이래로 여성 수감자는 57% 증가했고, 남성 수감자는 22% 증가해, 남성과 비교할 때 여성 수감자의 비율이 더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수감 여성들을 위한 국제단체인 ‘벽 너머 여성들’(Women Beyond Walls)은 2025년 3월에 국제형사개혁기구(PRI)와 공동으로 발행한 보고서를 통해, 빈곤과 취약 계층의 여성들이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취한 범죄 행위로 감옥에 가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지적했다.

2023년 영국과 웨일즈에서 여성들의 생필품 절도는 6개월 미만 징역형의 40%를 차지했다(남성의 경우는 22%). 2024년 우간다 여성이 저지른 범죄의 33%가 절도였고, 대부분의 여성들은 자녀가 있는 빈곤 생활자였다.

2019년에 시에라리온의 수감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54%가 문맹이었고, 71%가 수감되기 전에 하루에 한 끼 정도만 먹을 수 있었다고 답했다. 2018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구걸 행위로 처벌받은 5천 명 중 4천 명이 여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이집트에서 여성 수감자의 약 20-25%가 부채로 인한 생활형 범죄자로 파악됐다.

벽 너머 여성들의 마타니(Sabrina Mahtani) 대표는 감옥을 여성들에게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 것이 아니라 가난하고 취약한 여성들을 위한 지원 서비스와 지역사회 안전망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생활형 범죄에 내몰리고 있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지역교회들이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에 힘을 보태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icpr.org.uk, www.womenbeyondwalls.org)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4월호

Previous
Previous

향기로운 기도

Next
Next

아버지 품으로 돌아갈 때 누리는 회복과 기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