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는 선택이 아니라 순종입니다
♥마태복음 18: 21 ~ 35♥
21. 그 때에 베드로가 나아와 이르되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
22.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23. 그러므로 천국은 그 종들과 결산하려 하던 어떤 임금과 같으니
24.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25. 갚을 것이 없는지라 주인이 명하여 그 몸과 아내와 자식들과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갚게 하라 하니
26.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이르되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하거늘
27.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28.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이르되 빚을 갚으라 하매
29. 그 동료가 엎드려 간구하여 이르되 나에게 참아 주소서 갚으리이다 하되
30. 허락하지 아니하고 이에 가서 그가 빚을 갚도록 옥에 가두거늘
31. 그 동료들이 그것을 보고 몹시 딱하게 여겨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다 알리니
32. 이에 주인이 그를 불러다가 말하되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33.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하고
34. 주인이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그를 옥졸들에게 넘기니라
35.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용서는 선택이 아닌 순종입니다
베드로는 예수님께 질문합니다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사실 이 질문에는 용서의 한계선을 스스로 결정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왜냐하면 유대 전통에서는 세 번 정도면 충분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일곱 번은 최대한의 인내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말씀하십니다.
'일곱 번 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도 하라'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것은 단지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를 말씀하십니다.
용서는 횟수의 문제가 아니라 성품의 문제이며, 정체성의 문제입니다.
단순히 수치를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용서에는 한계가 없다는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서 깨닫게 되는 것은,
용서는 감정이 아니라 결정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용서를 이야기 하면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내가 기분이 좋고 이해가 되어야 용서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먼저 사과하면 용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네가 받은 은혜를 기억하고 용서하라'
즉, 용서는 나의 기분이나 이해에 따라 하는 선택이 아니라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믿음의 행동입니다.
용서는 감정이 아니라 복음에 대한 반응입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조건 없는 은혜이며, 그 은혜에 응답하는 삶의 방식이 용서입니다.
예수님은 일만 달란트 빛진자의 비유를 말씀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35.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데일리 말씀을 통해 용서가 선택이 아닌 믿음의 순종임을 깨닫습니다.
나는 하나님 앞에서 만 달란트 빚진 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긍휼을 입어 나의 죄를 전부 탕감받은 자입니다.
그러므로 타인을 용서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며 응답임을 깨닫습니다.
내가 받은 십자가의 은혜를 타인에게 흘러보내기를 간구합니다.
주님의 은혜로 내 감정에 치우치는 삶이 아니라 주님 말씀에 순종하여, 그 은혜에 응답하며 용서를 선택하는 삶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기도제목]
1.하나님, 내가 받은 용서의 은혜를 날마다 기억하게 하소서
2.주님, 말씀에 순종하여 용서를 선택하게 하소서. 내 감정보다 주님의 명령을 따르고 상처와 억울함보다는 십자가를 바라보게 하소서
3.GEM 선교회 정기모임(5/17), 베트남단기선교(6/16~20), 베트남 영어성경캠프(7/14~19)가 열립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좋은 길로 인도해 주시기를 기도부탁합니다.
4.세계선교기도회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아프리카 – 증가하는 비전염성 질환에 대한 지원 대책 시급해
2월 초, 르완다에서 열린 NCD 연합 포럼에서 암레프헬스아프리카(Amref Health Africa)의 대표인 기타히(Githinji Gitahi) 박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고혈압과 당뇨, 심장병과 같은 비전염성 질환(NCD)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19년 비전염성 질환으로 아프리카에서 사망한 숫자가 전체 사망자의 37%를 차지했는데, 이는 2000년에 비해 13% 이상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그리고 건강에 해로운 서구식 식단과 덜 활동적인 생활 패턴, 대기 오염 등의 요인으로 인해 앞으로 이 질환이 아프리카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이 질환에 대한 예방과 진단, 치료에 대한 의료 서비스 확충이 시급하게 요청된다고 덧붙였다. 에티오피아에서는 비전염성 질환으로 사망률이 2015년 30%에서 2023년 43%까지 증가했고, 민주콩고에서도 비슷한 증가세를 보였다. 앞으로 아프리카 지역에서 2045년까지 당뇨병 질환자는 4,7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비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자가 2030년까지 연간 38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2063년까지 비전염성 질환에 따른 합병증과 정신 건강 등의 문제로 연간 사망자는 1,660만 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아프리카 나라들은 비전염성 질환의 증가에 따른 보건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앞으로 치료와 간병 서비스에 대한 압박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여전히 아프리카의 일반 사람들은 이러한 질환에 대한 인식이 낮아 병원을 조기에 찾는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상황이다.
가난한 아프리카 사람들이 원인도 모르는 질병에 걸려 조기에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건 교육이 활성화되고, 아프리카 국가들과 국제 사회가 협력해 보건과 의료 시스템을 더욱 확충해 나가도록 기도하자.
(출처, forum.ncdalliance.org, www.theguardian.com)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4월호